전체 글 805

우리가 잘 모르는 것들 성경에는 있다를 읽고..

우리가 잘 모르는 것들 성경에는 있다 오경준 지음 (서울 : 홍성사, 2005) 벌써, 두 번째 책인 ‘성경에는 있다’를 소개(?)하게 되었다. 우리가 알고 있던 것이 성경에 있지 않는 것처럼 - 잘못된 오해로 생겨난 오류적인 행동 - 우리가 필히 알고 행해야 할 것이 성경에는 있지만 우연스럽게도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것을 조금이나마 도와주기 위해서 또한, 우리가 성경을 더욱 더 흥미진진하게 탐구하도록 도와주는 책이 본서이다. 전작처럼 3부 구성에 24개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조금 더 흥미진진한 성경 탐험을 돕는 내용이 각 부의 끝자락에 더해져있다. 각 부의 주제는 먼저, 우리가 잘 몰랐던 구약 속 이야기와 우리가 잘 몰랐던 복음서 속 이야기, 끝으로 우리가 잘 몰랐던 초대 교회 속..

성서에 관하여 2011.02.05

사랑은 어떤 순간도 최고의 날로 만든다 (2010년 과제 제출: 강의안)

사랑은 어떤 순간도 최고의 날로 만든다. 2010년 마지막을 장식하는 나날들이 연평도 사건으로 인해 우리의 가슴을 아프게 만듭니다. 군인들의 희생과 민간인의 희생, 그리고 그들의 삶의 터전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비참히 파괴되었습니다. 여러분은 삶에 있어서 소중한 것이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제가 소개하고자 하는 영화 「내 생애 최고의 해」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각자의 삶의 터전으로 비행기를 타고 내려가며 시작합니다. 그 속에는 3명의 주인공이 등장합니다. 계급으로는 대위, 중사, 사병 나이로는 20대, 30대, 50대로 보이고 각자 사랑하는 애인과 결혼한 지 20일 되고 전쟁터에 나갔거나, 20년 만에 재회하게 되는 사람들입니다. 격변하는 시대에 맞서 싸우게 되는 이 사람들 중에 누구를 집중할까 ..

삶속의 생각들 2011.02.01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 성경에는 없다를 읽고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 성경에는 없다 오경준 지음 (서울 : 홍성사, 2004) 성경을 읽으면서 우리는 알게 모르게 각 교단의 신학과 담임목사의 철학을 더하며, 거기에 우리 자신의 사상이 더하여져서 성경을 바라보는 렌즈를 갖고 있다. 이 렌즈란 사람들마다 고유의 색깔이 들어가 있어서 자칫하면, 남들과는 전혀 다른 칼라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인해서 성경에서 가리켜주고 있는 것을 바라보지 못하고 왜곡된 시야로 성경을 보는 경우가 많다. 이런 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 본서라고 할 수 있다. 책의 부제로는 ‘왜곡된 신앙지식을 바로잡고, 성경에 재미를 붙여 주는 흥미진진 성경탐구서’라고 되어 있다. 부제를 기준으로 살펴보자면, 성경을 읽어 가는데 있어서 가질 수 있는 의문과 성경 공부 때에 ..

성서에 관하여 2011.01.30

세상을 향해 [2004년 과제]

여기를 감싸는 어두운 구름 그 구름속에 매여있는 나를 보면 과연 세상은 무엇일까 생각한다 세상이 나에게 준 의미는 무엇일까 삶인지, 죽음인지, 아니면 그 무언가 다른 차원의 생각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 다만 후회 하지 않도록 살고 있을뿐 세상을 향해 힘차게 나아가는 저 새들처럼 힘차게 날개치는 독수리같이 나아가는 것이다 나에게도 여기를 감싸는 어두운 구름을 독수리처럼 걷어내며 올라갈수있다면 아름다운 세상을 바라볼수있을텐데

삶속의 생각들 2011.01.30

기독교 교리를 다시 생각한다를 읽고..

기독교 교리를 다시 생각한다. 도로시 세이어즈 지음 (서울 : IVP, 2009) 교리(Dogma)란 ‘딱딱하다’라고 생각하기 쉬운 순간을 우리는 지내고 있다. 이제는 그나마 신학이란 배울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목회자가 줄어든 상황이지만, 아직도 신학을 배워야 함이 무슨 의미인지 고민하게 만드는 순간을 지내고 있다. 특히, 기독교 교리를 조직적으로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조직신학이라는 분과이며 교리란 우리가 믿는 바를 서술하여 놓은 것이기에 중요하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를 자주 잊고 우리는 무엇을 믿고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를 애매모호하게 느낀다. 이것에서 조금 더 나아가 보자면 과연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난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제대로 설명하기조차 힘들다. 구원이란 복음이란 무엇인지..

신학과 종교학 2011.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