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다는 것 2

읽는다는 것 - 사유와 성찰

읽는다는 것 - 사유와 성찰 무엇인가를 읽는다는 것은 원인과 결과에 따르는 목적을 위하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 심지어 어린아이조차도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서거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하여서 읽는다. 읽는다는 것의 대상은 무엇인가. 대중 매체를 넘어서 현존하는 모든 매체들은 문자에서 그림으로 그리고 움직이는 영상으로 중심축이 이동되어졌다. 종이 위에 인쇄된 글을 통해서 사업을 영위하던 신문사들이 대거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이 시대의 흐름을 따르지 못한 곳은 사라져간다. 심지어 방송국조차도 TV화면 안에 이루어지던 사업의 행위들도 인터넷으로 스마트폰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앞으로는 인공지능에 의한, 빅 데이터의 분석에 의한 자료의 이해와 예측이 가능해지는 시대이기에 격차는 더욱 더 커다란 것으로 벌어지..

삶속의 생각들 2020.09.22

읽는다는 것을 읽고서

읽는다는 것 강영안 지음 (서울: IVP, 2020) 고등학생 시절, 수학보다는 국어가 좋아서 선택했던 문과 계열로의 삶은 지금의 나로 만들어갔다. ‘문학’, ‘작문’과 같은 과목들을 통해서 보다 더 글을 읽고 이해하며, 나누려고 노력하는 나로 변하게 한 시간들…. 어려서부터 반복해서 봤던 창세기의 요셉이야기 때문일까. 등장인물과의 동일시를 일찍이 겪어온 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시선이라는 단어로 표현될 수 있는 독자와 저자 사이에 벌어져 있는 간극. 텍스트를 바라보는 것은 사람에 따라서 얼마나 다른 차이를 보여줄지 궁금했다.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시다’라는 글을 통해 배웠던 국어 시간의 기억이 떠오르듯이 띄어쓰기가 존재하지 않는 글을 나만의 방식으로 읽는다면 여러 종류의 해석이 등장할 수밖에 없다. 성경이..

성서에 관하여 2020.06.02